네. 계양역 갑니다.

 

 

1/ 얼마전 회사 주니어 개발자와 나눈 대화입니다. "어떤 일을 100% 자동화하지 못하면 별 소용없는 일 같아서 손이 가질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제 대답은 "절대 그렇지 않다"였습니다. 100% 자동화를 목표로 뭔가를 하려면 아무것도 시작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100%가 아닌 조금이라도 자동화하면 직접 수작업으로 해야하는 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 시간으로 더 중요한 일이나 그 다음 자동화 작업을 고민하는 데에 시간을 쓸 수 있습니다.

 

2/ 한빛미디어에서 출간된 <네트워크 인프라 자동화>책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읽기 전용 자동화부터 진행하는 것이죠. 쓰기, 즉 무언가를 변경하는 자동화는 읽기 전용 자동화에 비해 위험 부담이 큽니다. 따라서 위험 부담이 작은 것 부터 진행해 보면서 해당 도메인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쌓아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3/ 위 그림은 트위터에서 봤던 사진입니다. 얼마나 많은 분들이 같은 질문을 던졌을까요? 하지만 운전기사분은 아주 간단한 해결방식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절약하고 있었습니다. 이 사진을 보는 순간 "이것이 바로 자동화의 가치다!" 싶어 손뼉을 쳤습니다. 정말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아끼고, 동시에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4/ 지난주 업무때문에 AI와 신약 개발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 참석했습니다. 신약 개발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이 활발하게 연구되더군요. 그런데 그 발표에서 흥미있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AI를 활용하여 단백질 합성 시험을 수행하는데, 원래 사람이 하면 100개중 40개 정도를 실험해야 하는데, AI를 쓰면 100개중 95개를 제거해 버린다는 겁니다. 처음에는 AI를 사용하여 될 것 같은 후보군을 찾는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반대 영역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죠. 연구자는 컴퓨터가 걸러낸 것을 제외하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대안을 고민하는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이와 같이 우리가 신경써야 할 범위를 줄여주는 자동화(그것을 AI를 쓰든 안쓰든)는 그 자체로 큰 가치를 가집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인 시간과 에너지를 더 영향력이 있고 가치있는 일에 쓸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100% 자동화가 아닐지라도 매일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하려 합니다.

 

이상 NeoZest의 개발잡설이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