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Manning에서 나오는 책이름은 LGTM(Looks Good To Me)이다. 내가 보기엔 괜찮아. 코드 리뷰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어.

 


개발자들이 만들어낸 자산으로서의 코드. 이 코드의 가치를 좀 더 높이고 좀 더 오래 살아 남아서 자본화되려면 코드 리뷰가 필요하다. 유지보수성을 어떻게든 올려야 하니까...차례를 보니 Part4가 볼만한 내용이 많을 것 같다. 코드 리뷰 관점에서 짝 프로그래밍, 몹 프로그래밍, AI와 함께 코드리뷰 하기가 들어 있다. 이제 이런 작업도 AI의 도움을 받는건 필수다.지금 읽고 있는 책 다음에 읽어봐야 겠다.

 

코드 리뷰를 처음 받아 보았을 때가 생각난다. 처음엔 서툴고 어색하고 나를 공격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었는데,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가 만드는 자산에 대한 품질을 생각하게 되더라.

 

 

다시 한번 어수선한 정국속에서 <도연초> 구절을 되새겨 보며 엔지니어 매니저의 수요일을 시작해 본다.

예능을 배워서 익히려고 하는 사람이 아직 능숙해지기 전에는 섣불리 남에게 알리지 않고 몰래몰래 연습해서 능숙해진 후에야 남의 앞에 나서는 것이 점잖고 의젓한 일이라고 대개는 생각하고 있는 모양인데, 이러한 사람은 한 가지의 예능도 습득할 수가 없다. 아직 아주 서투른 동안부터 잘하는 사람들 틈에 끼여들어 흉을 잡히고 웃음거리가 되어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태연하게 견뎌 내며 연습을 힘껏 하는 사람은, 선천적으로 재간을 타고나지 못했더라도 모든 일에 구애받지 않고 또 제멋대로 아무렇게나 하지 않으며, 연공을 쌓아간다면, 소질을 타고났으나 연습을 소홀히 하는 사람보다는 결국 능숙한 경지에 달하여, 관록이 붙고 세상 사람들에게도 인정을 받아 견줄 사람이 없을 만큼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천하에 그 이름을 떨치는 예도에 출중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시초에는 능숙하지 못하다는 평판도 있고 심한 결점도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 사람이 그 예도의 규칙을 올바르게 지키고 소중하게 여겨 방자하지 않게 한다면, 1대의 모범이 되고 만인의 스승이 된다는 것은 어느 길에 있어서나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